복사 방지 스크립트

2012년 7월 13일 금요일

[IT Story] IT(information technology) governance [2]

IT 효과ㆍ준거ㆍ책임성 등 확보 , 모니터링ㆍ평가ㆍ지휘하는 체계


 "소위 IT거버넌스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모여 IT거버넌스 정의 하나를 놓고 밤새 얘기를 해도 쉽게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곤 합니다."

국내 IT거버넌스 분야의 대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모 대학 교수의 말이다. 최근 IT분야에서 IT거버넌스라는 말이 유행어처럼 쓰이지만, 학계와 업계에선 IT거버넌스를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하고 있다. 이렇다 보니 IT거버넌스의 정의는 전문가별로, 분야별로 각양각색이다.

학계에서는 IT거버넌스를 크게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의사결정 체계와 책임소재의 관점, IT와 비즈니스의 전략적 연계 관점, 그리고 효과적인 조직설계를 통해 조직에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IT구조와 프로세스 관점으로 나눠 정의하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IT 거버넌스를 의사결정 체계의 권한과 책임 관점, IT와 비즈니스의 전략적 연계 관점,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위험관리 및 통제의 관점, 그리고 성과관리 관점으로 정의하는 경향이 강하다.

학계와 산업계의 IT거버넌스 정의를 비교해 보면 학계는 IT거버넌스를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IT와 비즈니스를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IT 의사결정 체계와 책임 소재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비해 산업계에서는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IT에 대한관리, 통제, 위험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명확히 측정할 것인가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다양한 IT거버넌스의 정의를 종합해 보면 IT거버넌스는 IT부문이 효과성, 준거성, 책임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직의 경영진이 IT부문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고, 지휘하는 체계로 요약될 수 있다. 따라서 IT거버넌스를 위해서 IT와 비즈니스의 연계, IT기반의 비즈니스 가치 증대와 위험관리, IT투자효과의 극대화, IT리더십 등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





출저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70705020108606480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